구 사회운동과 신 사회운동-노동운동과 환경운동을 중심으로[1].pptx |
목차 01 신 사회운동과 구 사회운동 1-1 구 사회 운동 신 사회 운동 1-2 구 사회운동과 신 사회 운동의 비교 1-3 구 -> 신 으로 변환의 계기 02 노동운동 환경운동 2-1 한국의 노동운동 2-2 한국의 환경운동 2-3 노동 VS 환경 03 적녹 연대 본문 01 구 사회운동과 신 사회운동 구 사회운동 산업사회(1960년대 전후)에 발생하였던 운동으로 경제적 측면의 자본과 노동의 모순을 해결하려 하였으며,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려는 목표를 가졌던 운동으로 이데올로기의 요소가 강함 구 사회운동의 가장 대표적 운동 표출 형태 : 노동운동 전반에 대한 국가의 탄압은 대체로 노동운동의 급진성을 강화시켜 주고, 노동운동의 정치적 편향성을 강화시켜 주며, 노동계급의 계급의식 및 계급적 유대를 강화시켜 이들의 노동자 정당에 대한 결속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져 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 사회운동 역사적 배경 :유럽은 복지국가와 노동운동의 제도화에 기반을 둔 조합주의적, 권위주의적 제도정치 속에서 시민들, 신세대들의 탈 물질주의적, 해방주의적인 새롭고 다양한 요구들이 수용되지 못함으로써 1968년 혁명을 계기로 풀 뿌리 민주주의에 기반을 둔 자발적 대중 동원을 통해 신 사회운동이 발생 성격과 특징 : 신 사회운동에서는 쟁점이 분산되고 각 쟁점에서의 전문성이 중요한 관심사 쟁점과 사람들의 네트워크화를 도모하면서 협조와 경쟁의 관계 따라서 삶의 현장인 지역에 관심을 갖게 되고 지역에 존재하는 문제를 쟁점화하면서 전국화, 세계화를 도모 신 사회운동의 가장 큰 특징은 주체가 그 대상은 관료적 권위주의와 산업사회 표출 형태 : 녹색당 등 정치조직의 건설, 참여민주주의 개발, 지방자치와 주민자치, NGO의 정치적 영향력 강화 2차 세계대전 이후의 급속한 산업화로 인한 사회 구조적 변동과 소비 사회의 도래 계급구조의 변화가 일어나 노동자 계급과 더불어 신 중간 계급이 크게 확대되었다. 노동자 계급에 비해 비교적 교육수준이 높고 개방적인 신 중간 계급의 구성원들은 물질적 이해 관계와 더불어 일터를 포함하여 사회의 여러 수준에서의 자율성을 요구하는 잠재적 욕구를 키워가고 있었다. 키워드 운동, 사회운동, 사회, 환경운동, 구, 환경 |
2016년 7월 26일 화요일
구 사회운동과 신 사회운동-노동운동과 환경운동을 중심으로
구 사회운동과 신 사회운동-노동운동과 환경운동을 중심으로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