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 26일 목요일

방통대 과제 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방통대 과제 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비고츠키의 인지이론.hwp


목차
방통대 가정학과 3학년 아동발달 B형 비고츠키의 인지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비고츠키의 인지이론
1) 주요 개념들
2) 발달 기제
3) 언어발달 4단계
4) 인지발달이론의 시사점
(1) 인지발달에서 언어의 중요성
(2) 근접발달영역
(3) 교육적 시사점
2. 사회 문화적 이론
1) 사회 문화적 맥락의 중요성
2) 도구의 매개와 언어 발달
3) 지식의 사회 문화적 구성주의
4) 고등 정신 기능의 내면화와 근접 발달 지역
5) 학습과 발달의 상호 작용
3. 비계 설정
1) 개념과 구성 요소
2) 비계 설정의 범주
4.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의 유사점과 차이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
Ⅱ. 본론

1. 비고츠키의 인지이론
1) 주요 개념들
(1) 역사, 사회적 환경
마음, 인지, 기억 등의 개념은 개체의 베타적인 속성으로 이해되기보다는 역사사회적 맥락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정신간, 정신내적으로 실행되는 기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심리적 도구
사람들은 환경을 다루기 위하여 심리적 도구를 창출하였듯이, 자신의 행동을 다루기 위하여 심리적 도구(기호)를 창출하였다. 아동의 발달 가능성에 대한 잠재가능성을 시사한다.
(3) 근접발달영역
실제 발달수준과 잠재적 발달수준을 구분하여 인지적 발달이란 역사, 사회적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강조한다.

2) 발달 기제
(1) 중요한 타인, 교사, 능력있는 또래는 아동의 역사, 사회적으로 설정된 기호체제(말, 글, 수체계 등)를 이용하여 환경 내 대상 혹은 사상을 구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 아동은 성인의 지도하에 의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지만 이러한 정신간 과정은 곧 내면화되어, 이것을 하지 말아야지. 대신 저것을 해야겠군 하면서 스스로에게 내적인 말을 하는 정신내 과정으로 변형하고 자신의 행동을 조절한다.
※ 언어는 사회적 경험이 내면화된 것이며 사회적 언어는 개인의 언어(혼잣말)를 형성 해준다고 봄 즉, 유아는 처음에는 언어를 사회적 상호작용의 도구로 사용하다가 점차적으로 크게 말하거나 의도한 행동을 말로하면서 환경과 개인적 상호작용을 시작한다. 그 결과 언어가 유아의 행동구조의 근원이 되거나 사고를 지지하는 근원이 된다.
(3) 자기중심적 언어 단계에서는 자기, 언어가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다.
(4) 사적언어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좀더 들을 수 없게 되고, 점차 정신 속으로 숨어들어 내적 언어가 된다.

3) 언어발달 4단계
(1) 제1단계(원시적 단계, 0~2세)
비 지적 언어 가능, 언어와 의식적 사고가 결합되기 이전의 시기
(2) 제2단계(순수심리적 단계)
언어의 상징적 기능 발견, 언어와 사고가 차츰 결합되기 시작
(3) 제3단계(자기중심적 언어의 단 계, 유치원 시기)
독백형태의 언어사용, 자기중심적 언어
(4) 제4단계(내적 언어 단계, 7세 정도)
자기중심적 언어 감소, 내적 언어로 이행, 논리적 기억이라는 수단을 사용하여 사고를 하는 시기

4) 인지발달이론의 시사점
(1) 인지발달에서 언어의 중요성
비고츠키에 의하면 사회적 언어와 내적 언어 모두 인간의 지적 능력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특히 내적 언어 (inner speech)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스스로 상황을 정리하고 해결책을 모색해보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보았습니다.
이를 통하여 문제해결의 경험을 충분히 한 후에는 내적 언어가 더 이상 필요치 않게 됩니다. 전조작기 단계의 아동에게 나타나는 자기중심적 언어가 자기중심적 사고를 나타내며 성장하면서 � ��차 감소한다고 보았던 피아제와 다른 입장입니다.

참고문헌
<참고문헌>

김억환, 박은혜 공역 (2007), 정신의 도구,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한순미 (2006), 비고츠키와 교육, 교육과학사.
한은숙 (1996), Vygotsky 이론에 의한 성인과 유아의 상호 작용과 유아의 문제해결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Wood, D. J. Bruner, J., & Ross, G. (1976),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7, 89-100.

키워드
비고츠키, 인지이론, 방통대, 아동발달, 비고츠키 인지이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