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1일 일요일

식품분석 - 환원당 측정 실험

식품분석 - 환원당 측정 실험
식품분석 - 환원당 측정 실험.hwp


본문
Report
환원당 함량 측정
제출일
담당교수
전공
학번
이름
원리
이번 실험에서는 DNS법을 이용하여 감귤주스에 들어있는 환원당을 측정하고자 한다. DNS 방법이란 즉, 디니트로살리실산(3,5-dinitrosalicylic acid, DNS)에 의한 환원당의 정량 실험은 환원당에 의하여 디니트로살리실산(3,5-dinitrosalicylic acid, DNS)이 환원되어 생성된 3-아미노-5-니트로살리실산(3-amino-5-nitrosalicylic acid)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당을 정량 분석한다. 당의 환원력은 당의 종류에 따라서 차이가 있고 또 반응조건에 따라서 다르므로 상대적인 양의 함량만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반응은 알칼리성에서 일어나므로 반응용액을 알칼리성으로 만들어서 발색을 증가시키고, 생성된 3-아미노-5-니트로살리실산(3-amino-5-nitrosalicylic acid)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DNS시약에 NaOH, Rochelle염, 페놀 및 Na2S2O5를 첨가한다. 이 방법은 당의 환원력을 이용한 것이므로 환원당뿐만 아니라 시료에 있는 다른 환원성 물질에 의해서도 흡광도가 증가하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이 DNS 법에서는 흡광도를 측정하기 위해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신속하고 미량으로도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기기 분석의 하나이다. 기기 분석법 중에 흔히 사용되는 분석법은 비색 분리법인데, 시료 용액에 적당한 시약을 가하여 착색시켜 이용액의 색이 용액 중의 목적 성분의 양과 상관관계가 있을 때, 이 색의 농도를 측정, 비교하여 목적 성분을 정량하는 방법을 비색 분석법(colorimetry)이라 한다. 이 방법은 광도계에 의한 분석으로 미량 성분이라도 신속,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비색의 원리는 착색된 용액에 빛을 통과 시키면 용액 중의 물질 분자가 특정한 파장의 광만을 정량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이 흡수의 정도를 적당한 방법으로 비교하는 것이 가능한데 현재에는 광전관을 이용해서 투과해 오는 광의 양을 전류의 강약으로 변형시켜 측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광원
Source

단색화 장치
Monochromator

흡광기

하고 싶은 말
좀 더 업그레이드하여 자료를 보완하여,
과제물을 꼼꼼하게 정성을 들어 작성했습니다.

위 자료 요약정리 잘되어 있으니 잘 참고하시어
학업에 나날이 발전이 있기를 기원합니다 ^^
구입자 분의 앞날에 항상 무궁한 발전과 행복과 행운이 깃들기를 홧팅

키워드
용액, 측정, 당의, 흡광도, 비색, 방법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