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9월 27일 화요일

고전문학과 미학

고전문학과 미학
고전문학과 미학.pptx


목차
1. 미학의 정의

2. 한국문학의 미적 범주 연구

3. 미적 양식의 분류 기준

4. 미적 양식의 공존관계

5. 숭고

6. 우아

7. 비장

8. 골계


본문
1. 미학의 정의

일상적으로 의식할 수 있는 살아가는 방식을 예술적 질서에 맞도록 집약화하여 표현하는 것

문학에 있어 미학의 의의

미적 범주를 통해 문학의 사상을 깊이 파악할 수 있다

고전 문학에 있어 미학의 의의
한국인의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고전 문학이 단순한 문학을 넘어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을 확인

2. 한국문학의 미적 범주 연구

조윤제
문학을 생활의 표현으로 봄.
한국인의 생활태도와 관련 지어 국문학의 미의식을 여섯 개의 명사로 규정함.
은근과 끈기, 가냘픔과 애처로움, 두어라와 노세.

김인환
미적 범주는 장르를 우선하는 근본 구조원리로 파악.
비극적 작품, 해학적 작품, 풍자적 작품, 반어적 작품으로 미적 범주를 집단화.


참고문헌
참고 도서
조동일, 「미적범주」, 『한국사상대계I』, 대동문화연구원, 1973.   
조동일, 『한국문학의 이해와 길잡이』, 집문당 1996.
조동일 편,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98.
조윤제, 『국문학개설』, 탐구당, 1991.

참고 논문
유병익, 「고시조의 미의식 연구」, 『어문학교육』제8집, 한국어문교육학회, 1985.
박준규, 「사설시조의 시적 화자와 미의식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키워드
고전, 문학, 고전문학과, 고전문학, 문학과, 미학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