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월 27일 토요일

고부관계 고부갈등의 변화, 고부갈등의 원인, 고부간의 적응

고부관계 고부갈등의 변화, 고부갈등의 원인, 고부간의 적응
[고부관계] 고부갈등의 변화, 고부갈등의 원인, 고부간의 적응.hwp


목차
CONTENT

고부관계

I. 고부갈등의 변화
1. 전통가족에서의 고부갈등
2. 현대 가족에서의 고부갈등

II. 고부갈등의 원인
1. 권력구조에 따른 고부갈등의 원인
2. 역할구조에 따른 고부갈등의 원인
3. 애정구조에 따른 고부갈등 원인
4. 세대 차이로 인한 갈등

III. 고부간의 적응
1. 고부간의 적응을 위한 여건
2. 고부간의 적응 및 갈등 해소방안

* 참고문헌

본문
고부관계

삶의 기반을 토지에 두고 생활하던 농업사회에서는 친족관계망이 살을 유지하는 데 있어 주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부재 중심 사회에서 부재의 친족관계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칠 수 있었다. 따라서 인척관계는 주로 부인의 인척관계, 그 중에서도 고부관계가 관심의 초점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산업화와 도시화에 따라 지리적 이동이 활발해지면서 친족 간의 상호작용을 규정짓던 많은 요인이 변화하고 있고, 핵가족이 더욱 보편화되면서 부부의 양가 부모에 대한 상호작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변화는 법제적인 측면에서 선행되었는데, 8촌 이내 부재 혈족, 4촌 이내 모계 혈족과 부인의 부모, 배우자로 규정되었던 친족의 범위가 1991년 개정되면서 부재와 모계의 8촌 이내의 혈족과 남편, 부인의 4촌 이내의 인척, 배우자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개정으로 친족의 범위가 확장됨으로써 실제 생활에서도 이러한 변화가 반영되고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친족관계는 부재 지향의 특성이 남아있기는 하지만, 많은 연구들이 양계 지향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인척관계에 관한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이 주부들을 중심으로 한 갈등적인 시가관계와 수혜적인 친가관계를 강조하고 있으나, 남편의 인척관계를 고려한다면 다른 결과를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지금까지 논의의 중심이 되어 온 여성의 인척관계를 고부관계를 중심으로 살펴 본 후에 남편의 인척관계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하고 싶은 말
자료들을 뒤적거리며 알짜배기로 간추려 작성한 레포트입니다.

키워드
고부, 고부갈등, 갈등, 고부관계, 고부간, 관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