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I. 전달체계의 의미와 구분 II. 전달체계의 수립 및 평가의 주요 원칙 1. 통합성 및 지속성 2. 접근성 3. 책임성 4. 전문성 5. 적절성 III.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전달체계 1. 공공전달체계 2. 민간전달체계 * 참고문헌 본문 I. 전달체계의 의미와 구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delivery system)는 사회복지서비스의 공급자와 클라이언트를 연결시키기 위한 조직적 장치라고 할 수 있다. 복지서비스 전달체계란 사회복지의 조직적 환경인 사회복지기관 및 시설과 중앙에서 지방일선에 이르는 모든 공 사조직 등 일체의 공 사적 복지기관과 이들 기관의 서비스 전달망을 말한다. 이러한 전달체계는 구조기능, 운영주체 및 서비스별 네트워크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전달체계의 구조와 기능에 따라 행정체계와 집행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행정체계는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을 기획, 지원, 관리하는 것이고, 집행체계는 전달자가 클라이언트와 상호접촉을 가지면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직접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행정체계는 보건복지부에서 시 군 구에 이르기까지 기초생활보장서비스를 계획 지시 지원 관리 감독하는 업무를 말하고, 집행체계는 읍 면 동이 최일선에서 기초생활보장수급권자에게 구체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말한다. 참고문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하고 싶은 말 사회복지 레포트입니다.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랍니다. 키워드 복지, 사회, 전달체계, 서비스, 체계, 사회복지서비스 |
2018년 2월 20일 화요일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